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근로넷 공공직장 어린이집 저렴한 금액에 육아부담 줄이기

by 이겸상 2024. 2. 10.

사업목적

전국 37개 공단 어린이집을 통해 근로자 육아부담 경감 및 지역사회에 바람직한 직장어린이집 운영 롤 모델 제시

사업내용

입소대상자

만0세부터 만5세 취학 전 아동

'24년도 월보육료(매년 보건복지부 고시)

금 액 540,000원 475,000원 394,000원 280,000원

입소순위

1순위:

  • 부모 모두 근로자인 가정의 자녀
  • 우선지원대상기업·비정규직근로자 가정의 자녀
  • 재원 중 아동 형제자매, 공단어린이집 교직원 자녀
  • 영유아보육법 및 지침(보육사업안내) 준용
  • 선착순

보육시간

  • 보육시간: 07:3019:30 (평일), 07:3015:30 (토요일), 19:30~22:30 (야간연장교육)
  • 평일 12시간 이상 운영함을 원침으로 하며, 보호자의 근로시간 등을 참작하여 조정 운영 가능
  • 기준시간 초과보육 및 휴일보육은 보호자와 원장의 협의에 의해 실시

보육내용(기본원칙)

  • 보호: 영아 및 유아에 대하여 심신의 세심한 보호를 통하여 가정과 같은 분위기 조성
  • 교육: 영유아의 신체적·사회적·지적 및 언어적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경험제공 및 자기 존중감 발달
  • 영양: 충분하고 균형있는 영양공급 및 바른 식습관 지도
  • 건강: 영유아의 신체적·정서적 건강을 위한 예방적 서비스 제공
  • 안전: 영유아 스스로가 자신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가지도록 지도
  • 부모에 대한 서비스: 부모참여, 부모교육, 보육과정의 관찰 등을 통하여 보육의 효과 제고
  • 지역사회와의 교류: 지역사회 인사의 보육활동에의 참여, 지역사회의 보육시설 활용, 보육시설의 지역사회 시설의 활용등을 통하여 효율적인 보육프로그램의 운영

현황

서울 강서어린이집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33가길 42 02-2690-2600
서울 곰달래어린이집 서울특별시 강서구 곰달래로53길 30-20 02-2646-7142
서울 등촌어린이집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56나길 128 02-2659-3370
서울 마포어린이집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로 49-1 02-322-7333
서울 모아래어린이집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로9길 35 02-865-7220
경기 고양어린이집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중앙로468번길 85 031-979-0234
경기 군포어린이집 경기도 군포시 당산로 190 031-458-2327
경기 부천어린이집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수도로206번길 54-14 032-672-1727
경기 수원어린이집 경기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 1088번길 25 031-254-1865
인천 남동어린이집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 독곡로 80-1 032-465-5885
인천 송도어린이집 인천광역시 연수구 센트럴로 420 032-859-7070
인천 인천어린이집 인천광역시 서구 승학로197번길 20-10 032-563-1963
강원 동해어린이집 강원도 동해시 샘실3길 21 033-535-7455
충청 대전어린이집 대전광역시 동구 백룡로5번길 143 042-628-5581
충청 세종어린이집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새내 2길 41 044-862-5015
충청 수안들어린이집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향군로136번길 21 043-221-0280
경상 대구어린이집 대구광역시 서구 서대구로17길 28 053-563-5172
경상 경주어린이집 경상북도 경주시 토용길6번길 7 054-746-0774
경상 영주어린이집 경상북도 영주시 향교길108-5 054-634-7188
전라 광주어린이집 광주광역시 광산구 빛동8로 24 062-945-1004
전라 광양어린이집 전라남도 광양시 중동2길 28 061-791-3350
전라 군산어린이집 전라북도 군산시 칠성4길 103 063-465-1606
제주 제주어린이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석4길 12 064-723-3020

특수보육서비스 제공

  • 목적: 근로자의 근무환경 및 지역특성에 맞는 각종 특수보육서비스의 제공으로 보육욕구 충족 및 안정적인 취업활동에 기여
  • 특수보육서비스 내용:
    • 시간제보육
    • 장애아보육
    • 방과 후 보육
    • 야간연장보육

결론

맞춤복지 사업은 근로자들의 육아 부담을 경감하고, 지역사회에 바람직한 직장어린이집 운영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. 보육시설의 다양한 제공 내용과 널리 퍼져 있는 입소 가능 지역은 근로자들에게 좋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. 향후 더 많은 근로자들이 이러한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.